3회차(2021.07.27 14:00~17:00)


백준 자료구조 문제 5개 풀기

1966 프린터 큐
4949 균형잡힌 세상
1764 듣보잡
1406 에디터
18258 큐 2
이렇게 5문제를 풀어보았다.
먼저 1966 프린터 큐는
LinkedList와 Queue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했는데,
LinkedList는 값을 비교하고, 접근하는 용도이고,
실질적인 이동은 Queue를 이용하였다.

4949 균형잡힌 세상은
괄호쌍을 스택을 활용하여 판단하는 문제이다.
1764 듣보잡은
듣도 못한 사람을 다루는 TreeSet, 보도 못한 사람을 다루는 TreeSet 두 개를 만들고,
교집합을 구하기 위해서 TreeSet 하나를 이용하여 새 TreeSet을 만들고,
retainAll() 메서드를 이용하여 교집합을 구해주었다.
1406 에디터 문제가 가장 어려웠는데, 0.3초라는 시간 제한 때문에 힘들었다.
처음에는 cursor 변수를 만들어 연산이 이루어질 때마다 커서 위치를 바꾸며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
시간초과가 떠서 해결 방법을 고민해봤는데 도저히 모르겠어서 힌트를 좀 얻었다.

스택 두 개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면 된다는 힌트를 가지고
커서 위치를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 스택을 만들어 문제를 해결해보았다.

18258 큐 2는 큐의 정의에 대한 문제인데,
앞에서 값을 참조하는 front, 뒤에서 값을 참조하는 back 명령이 존재하기 때문에
양방향에서 값을 다룰 수 있는 Deque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정보처리기능사 앞부분 복습 + 2장 마무리
section 12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키의 종류에 대해 배웠는데,
슈퍼키, 후보키, 기본키, 대체키, 외래키와 같이 다양한 종류에 대해 알아보았다.
section 13에서는 무결성에 대해 배웠는데,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값과 현실 세계의 실제값이 일치하는 정확성을 의미한다.
종류로는 개체 무결성, 도메인 무결성, 참조 무결성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개체 무결성은 어떤 속성도 Null값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다는 규정이고,
도메인 무결성은 주어진 속성 값이 정의된 도메인에 속한 값이어야 한다,
참조 무결성은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section 14에서는 정규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1NF, 2NF, 3NF, BCNF, 4NF, 5NF가 존재하며 순서대로 비정규 릴레이션을 정규화하는 단계에 해당한다.
section 15에서는 고급 데이터베이스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제한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기본 테이블로부터 유도된 뷰,
데이터 레코드의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만든 보조적인 데이터 구조 인덱스,
시스템 그 자체에 관련이 있는 다양한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베이스 시스템카탈로그,
데이터베이스 관련 연산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이자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 단위인 트랜잭션
에 대해 알아보았고, 트랜잭션은 원자성, 일관성, 격리성/독립성, 영속성의 특징을 가짐을 알았다.
왜 자료구조 수업을 들었는데도 아직 자료구조 관련 문제가 어려울까,,
모각코 덕분에 공부를 해야 하는 확실한 명분이 생겨서 도움이 많이 됐다.

'모각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 하계 모각코] 6회차 회고록 (0) | 2021.08.21 |
---|---|
[2021 하계 모각코] 5회차 회고록 (0) | 2021.08.18 |
[2021 하계 모각코] 4회차 회고록 (0) | 2021.08.09 |
[2021 하계 모각코] 2회차 회고록 (0) | 2021.07.26 |
[2021 하계 모각코] 1회차 회고록 (0) | 2021.07.06 |